취미이야기 65

오디오 이야기 04 - LP

왜 LP인가? CD가 레코드 판을 대처한후 부터 계속 나오는 뉴스가 'LP 바람이 다시 불어오고있다' 라는 뉴스다. 벌써 몇십년째다. 꼭 일년에 한번씩은 이런 기사가 난다. 사람들은 사장된 LP를 한번씩 꺼내어 향수를 불러 일으키고 죽을만 하면 다시 불러온다. 마치 2G 폰이 계속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는것과 비슷하다 할 수 있다. 사실은 LP만의 매력이 있으니 명맥을 유지하는것이고 사실 2G 폰이 없어지지 않는것과는 엄밀히 말하면 다른 종류이다. 우리가 살면서 기능이 상실되거나 도퇴되어서 잊혀진 기술이 한두개인가. '왜 LP냐?'를 간단히 쥐어짜서 요약하자면: 1. 보이지 않는 CD 메카니즘에 비해 뭔가 구동하고있는것이 보인다. 일단 돌아가고 암대(tone arm)가 움직이는게 신기하다. 2. 아나로..

오디오 이야기 03 - 음원

이번에는 오디오의 음원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고 듣는것은 역시 유튜브겠죠. 여기에서 제공되는 음악도 상당히 들을 만 합니다. 그전에 mp3형태의 음원파일을 컴퓨터에 저장했다가 플레이하는 PC-FI 나 아님 음악 전용 서버에서 바로 듣는 방식이 있었습니다. 또 그 전세대는 CD와 LP가 있었죠. 추측컨데, 현재 오디오 매니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원은 아직까지 CD일 것입니다. 그다음에 아날로그 음원을 좋아하는 분들은 레코드 판을 재생하실 것입니다. 사실 LP에서 CD로 넘어가고 약 30년 넘는 기간동안 CD가 음원의 황제역할을 했었습니다. 그사이에 보통CD, HDCD, Super Audio CD등 다양한 포멧이 나오기도 하고 다른 음원포멧과 경쟁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오디오 이야기 02 - 간단한 시작

그럼 나에게 맞는 오디오는 무엇인가? 2 채널 vs 다중 채널 일단 나의 금전적 형편과 환경에 맞는 오디오를 선택하는것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화를 좋아하고 공간이 좀 되면 5.1 내지 7.1채널 홈 티어터 스피커 시스템과 리시버로 가는 것이고 음악을 좋아한다면 2 채널 오디오가 일반적입니다. 물론 홈 티어터 스피커 시스템으로도 음악을 잘 즐길 수 있습니다. (다중채널 스피커를 구동하는 인티 엠프같은 것을 리시버라고 부릅니다.) 여기서는 2채널 위주로 써 보겠습니다. 피씨파이 (PC-FI) 시스템이란 피씨나 랩탑을 음원으로 사용하는 작은 앰프, 스피커 셋이나 스피커에 엠프가 붙어있는 시스텀인데, 책상위에 다 차려놓을 수 있는 축소판 오디오 시스템입니다. 요즘은 블루투스 스피커로 많이 넘어가는 추..

오디오 이야기 01 - 시작하며

예전 필자가 학생때 수험생의 사대악적은 술, 담배, 당구, 여자였었다. 현재 성인 남자들의 세상 나쁜 삼대 취미는 자동차, 카메라, 오디오라고들 한다. 그밖에 골프, 낚시, 게임 등이 있을 것이다. 자동차, 카메라, 오디오의 취미로써 공통점을 본다면 바꿈질이 심하다는 것이다. 즉 돈이 많이 든다. 모두 온라인 동호회와 모임에 관련되서 같이 나누며 남에게 과시하는 면모가 아주 크다고 본다. 본인의 만족과 남에게 과시하는 데서 오는 비교적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다. 단, 꼭 그러한 만족감이 나쁘다는 소리는 아니다. 다른 취미는 차치하고, 오디오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결론부터 말하면 다 헛되다는 것이다. 어느 회장이 오디오를 수십억원 가량 구매하고 창고에 쌓아 놓았다는 이야기는 오디오병의 일면을 단적으로..

3D 프린터, 나도 한번 해봅시다!

3D 프린터를 구입하시고 사용하실 분들이나, 사놓으시고 사용하지 못하시는 분들을 위한 도움을 드릴까 합니다. 일단 3D 프린터는 집에서 간단(?) 하게 물건을 commercial grade로 만들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용도는 아이들의 장난감 및 성인들의 취미생활에서 부터, 회사 시제품의 프로토타입까지 그 사용의 스팩트럼이 아주 넓습니다. 또한 3D프린터의 가격과 운영하는 재료비도 충분히 낮아져서 요즘은 큰 부담없이 누구나 사서 사용할 수 있을듯 합니다. 프린터의 구입은 많은 참고글들이 있으니 찾아보시면 될것같고, 일단 금전적인 형편 (10만원대~수백만만원)과 사용 용도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삼십만원대 프린터를 운영중입니다. 사용 용도보다는 금전적인 요인이 프린터 선..